■ 진행 : 노종면 앵커 /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이동우 기자 <br /> <br /> <br />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한국인 관광객이 탄 유람선이 침몰한 지 오늘로 12일째입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서는 유람선을 인양하기 위한 준비작업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<br /> <br />이에 따라 이르면 우리 시간으로 오늘 밤이나 내일 새벽 사이에 인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이동우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까지 침몰 유람선에 '본 와이어' 3개를 연결했다고 하던데, 이제 1개만 더 연결하면 인양을 위한 큰 고비는 넘기게 되는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시청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그래픽 화면을 준비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허블레아니 호는 본 와이어 4개로 감싼 뒤 크레인에 연결해서 들어 올릴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선체와 강바닥 사이에 와이어를 밀어 넣어서 통과시킨 뒤 연결하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먼저 선발대 역할을 하는 가느다란 유도 파이프와 유도 와이어를 통과시킨 뒤 마지막으로 '본 와이어'를 통과시키는 순서입니다. <br /> <br />어제까지 본와이어 4개 가운데 3개를 연결했고요. <br /> <br />이제 1개만 더 연결하면 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'본 와이어'를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웠다고 하던데 왜 그런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고 현장 강바닥에 큰크리트 잔해물이 많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2차 세계대전 당시에 머르기트 다리가 독일군에 의해 폭파된 적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당시 수백 명이 숨졌고 폭파 당시 다리의 콘크리트 잔해물이 강바닥에 그대로 가라앉은 것입니다. <br /> <br />침몰 유람선 허블레아니 호와 강바닥 사이에 콘크리트 잔해물이 있다보니 아무래도 그 사이에 지름 22밀리미터의 본와이어를 통과시키는 작업이 어려웠던 것입니다. <br /> <br />본 와이어 4가닥 가운데 마지막 남은 1가닥도 콘크리트 잔해물과 침몰 유람선 사이를 통과시키는데 애로사항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본 와이어로 선박을 결속하는 작업에서 가장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은 어떤 것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본 와이어 4개인데, 각각의 위치를 어떻게 잡느냐가 굉장히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위치를 잘못 잡으면 인양 과정에서 선체가 균형을 잃고 다시 침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작업팀은 최적의 결속 위치를 잡는 데 많은 노력을 쏟았습니다. <br /> <br />구조팀은 인양 과정에서도 와이어를 조정해가며 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최선을 다할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61015045871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